‘동네 방사선 지수’ 나온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3-25 00:26
입력 2011-03-25 00:00

윤철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장 본지 인터뷰

이미지 확대
윤철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장
윤철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장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를 계기로 국내의 방사능 관측소가 120곳으로 늘어난다. 가동 중인 21개 원전을 대상으로 긴급 안전성 조사에 들어갔으며, 결과는 다음 달 말 나온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공동으로 원전 정밀 조사가 실시될 예정이다.

윤철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원장은 24일 서울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우리나라도 미국 카트리나와 같은 슈퍼 태풍이나 동일본 대지진 등의 자연재해에서 자유로울 수만은 없기 때문에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만반의 대비를 할 것”이라면서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23일부터 국내 원전에 대한 긴급 점검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KINS는 원전 등 방사능 시설 관리, 전국의 환경 방사능 조사·평가, 비상 대책 수립 등을 맡는 국내 최고 권위의 국가기관이다.

윤 원장은 “외국에서 방사능이 들어오는 길목인 해변을 중심으로 설치돼 있는 70여개의 방사능 관측 모니터를 대도시를 중심으로 120개 이상으로 늘릴 것”이라면서 “측정된 방사능 수치를 국민에게 공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윤 원장은 대도시 도심에 설치될 모니터를 통해 방사능 노출 수치를 알려주고, 전국적인 현황도 인터넷 포털사이트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알려주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21개 원전에 대한 1단계 긴급 안전점검은 4월 말까지 KINS 차원에서 실시된다.

윤 원장은 “현재 원자력손해배상협약(빈협약)에 따라 원전 사고를 일으킨 나라가 손해 본 나라에 보상하는 제도가 있지만 실효성이 없고 지진이 나면 타 국가에 주기적으로 정확한 상황을 전파하는 조기통보협약 역시 정확히 지켜지지 않았다.”면서 “동일본 지진을 계기로 국제적으로 이 같은 협약들이 강화되는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3-25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