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공공청사 관리 기준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건물이 냉방장치를 가동할 수 있는 기준 온도는 섭씨 28도 이상. 건립 40년이 넘어 낡은 서울 종로구 세종로 정부중앙청사는 이번 여름도 꼼짝없이 ‘마(魔)의 28도’와 한바탕 신경전을 벌여야 한다.
해마다 이맘때쯤 공무원들이 벙어리 냉가슴 앓으며 지적하는 문제는 온도 측정 지점이 현실성이 없다는 것. 중앙청사의 경우 복도와 사무실 등 각 층마다 15곳쯤에 온도계가 설치돼 있다. 정부청사관리소에서 모니터를 통해 온도를 점검하는데, 외부온도가 실질적으로 반영되는 창가 쪽으로 온도계를 옮겨야 한다는 ‘민원’이 적지 않다.
바깥 온도가 30도를 넘어서도 정작 청사 내 측정치는 28도를 밑도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의 한 직원은 “경제위기에다 기름값도 치솟아 온 국민이 허리띠를 졸라매는 상황에서 공무원들이 ‘찜통 사무실’을 탓하기란 무척 조심스럽다.”면서도 “장마가 끝나면 불볕더위가 찾아올 텐데 어떻게 여름을 견딜지 걱정되는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 “공직사회가 에너지 절약에 앞장서는 것도 좋지만, 업무효율 면에서는 한번쯤 득실을 따져볼 문제”라는 조심스러운 얘기도 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