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주유소’ 외면하는 공공기관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1-09-16 00:32
입력 2011-09-16 00:00
이미지 확대
코레일·한국환경공단·한국농어촌공사·근로복지공단·국민연금공단 등 69개 공공기관은 주유 관련 지침이 없어 차량 관리자가 본인의 돈을 내지 않기 때문에 값싼 주유소를 찾지 않는, 이른바 ‘주유 대리인’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기획재정부는 15일 공기업 27개, 준정부기관 82개 등 총 109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기관 보유 차량대수, 연간 주유비용 및 주유방식 등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중 63.3%(69개)가 운전자가 임의로 주유소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기관들이 보유한 차량은 4500대, 연간 주유비용은 127억원 수준이다.

특히 코레일은 유지보수 등 현장업무가 많아 차량 보유 대수가 1000여대에 육박하면서도 주유 관련 별도 지침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재정부는 이에 따라 해당 기관의 주유 비용 절감 추진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주유 비용 절감을 위한 개선 방안 마련 여부 및 실행노력 등을 경영실적평가에 반영할 계획이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1-09-1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