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소외계층 정보화수준 72점
수정 2012-02-03 00:00
입력 2012-02-03 00:00
행안부 작년 정보격차지수 조사
장애인, 농어민 등 ‘정보 소외계층’의 인터넷 이용률 등을 포함한 정보화 수준이 전체 국민의 70%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소외계층에는 장애인과 농어민 외에도 장·노년층과 저소득층도 포함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정보화 수준은 국민 전체 수준을 100%로 보고 정보 소외계층의 수준을 측정한 것으로, 100점 만점에 72점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계층별 정보화 수준을 전체 국민 수준과 비교하면 장애인이 82.2%, 저소득층 81.4%, 장·노년층 69.2%, 농어민 63.6% 순이다. 이번 조사에서 처음으로 조사한 결혼이민자·북한이탈주민 등의 정보화 수준도 전체 국민의 70% 수준 안팎이었다. 결혼이민자는 71.4%, 북한이탈주민은 66.0%로 조사됐다.
최근 한 달 이내 인터넷을 사용한 인구(인터넷이용률)는 100명 중 45.6명(전년도 44.3명), PC를 보유한 가구는 100가구 중 67.7가구(전년도 67.2가구)였다. 또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월 1회 이상 이용하는 소외계층 인구는 100명 중 13.6명(전체 국민 31.1명)이었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2012-02-0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