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 방화복 모자란데 낡기까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02-10 00:00
입력 2012-02-10 00:00

7% 부족… 4벌중 1벌 폐기대상

화재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들의 방화복과 안전장비가 턱없이 부족하거나 노후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확대
9일 소방방재청은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소방관들의 진압·보호장비 노후율이 17.3%, 차량 노후율이 19.4%라고 밝혔다.

화재를 진압할 때 입는 방화복의 경우 수량은 7.4% 부족하고 그나마 지급된 방화복의 23.9%는 내구연한이 지난 것으로 조사됐다. 소방관들이 화재현장에서 입는 옷 4벌 가운데 1벌이 폐기처분 대상인 셈이다.

또 장갑과 안전화도 필요 수량에 비해 각각 18.7%와 21.8% 적고, 그나마 보유분 중에서도 각각 25.4%와 16.8%는 폐기돼야 할 만큼 낡았다. 공기호흡기가 없는 소방관도 1849명(5.1%)이나 됐으며, 공기호흡기 노후율은 3.3%였다. 헬멧은 1인당 1개 이상 있지만 24.9%가 노후해서 교체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재정 여건에 따라 장비 사정도 크게 달라졌다. 대구시는 공기호흡기가 557개(31.6%)나 부족하고 그나마 42.8%는 폐기 시점이 지났다. 다른 장비도 사정은 비슷하다. 노후율이 방화복 46.8%, 안전화 58.2%, 장갑 48.7%, 헬멧 44.5% 등으로 절반 가까이가 사용 기준에 맞지 않았다.

소방차량은 사고 위험이 큰 사다리차가 190대 중 16대(8.4%), 굴절차는 203대 가운데 18대(8.9%)가 내구연한(15년)이 지났다. 특히 가장 높은 52m 이상 사다리차 97대 가운데 6대와 35m 이상 굴절차 47대 중 6대가 1992∼1996년에 생산됐다. 방재청은 “사다리차는 한 대 가격이 수억원이다 보니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에서는 교체하지 못하고 내구연한이 지나고서도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 1∼2년 단위로 연장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양진기자 ky0295@seoul.co.kr

2012-02-1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