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 ‘두 집 살림’ 한다
수정 2012-10-09 00:28
입력 2012-10-09 00:00
서울 공관·집무실 유지키로
8일 총리실에 따르면 “총리의 외국 방문 인사 접견과 각종 회의 참석 등 서울 중심의 활동이 많기 때문에 서울과 세종시에 각각의 집무실과 공관을 운영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세종로 청사 9층에 위치한 총리 집무실과 접견실, 대회의실 등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9층 전체 넓이인 2050㎡(약 620평)의 60% 정도 되는 1300㎡의 넓이다. 외부 인사 접견과 결재, 각종 회의 주재 등 총리 업무의 상당 부분이 서울에서 이뤄질 것을 대비해서다.
총리가 기거하고 각종 연회 등을 개최하게 될 총리 공관도 세종시 어진동 일대에 오는 11월 말 완공을 목표로 별도로 건축 중이다. 새로 짓는 총리공관은 연면적 3039㎡, 대지면적 2만㎡이다. 서울 삼청동 공관보다 훨씬 크다. 별도의 온실 건물도 딸려 있다. 기존의 삼청동 공관은 연면적 2258㎡, 대지면적 1만 5014㎡이다.
총리의 외국 손님 접견 및 연회 행사가 서울을 중심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세종시 공관을 지나치게 크게 짓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올해 삼청동 총리공관의 유지 비용은 1억 4000만원. 내년 총리공관 관리 예산으로 총리실에서 기획재정부에 신청한 예산은 서울과 세종시를 합해 7억 2700만원이나 된다. 두 개의 공관과 두 개의 집무실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데 적지 않은 인원과 비용이 소모될 것임을 보여 준다.
이 때문에 서울의 삼청동 공관을 정리하는 것이 예산 절감 차원에서나 세종시 이전의 상징성을 높이기 위해서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집무실을 두 개 두는 것은 어찌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공관을 두 개나 유지하는 것은 예산 낭비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총리의 서울 숙박을 위해서 지금처럼 연회장으로 쓸 수 있는 공간이 딸린 커다란 공관 대신 간소한 총리 숙소를 별도로 얻어 활용하면 될 것이란 지적도 있다.
새누리당 강석훈 의원은 “행정부 이전이 마무리되는 2014년 이후에는 서울 공관을 정리할 계획을 세우든지 다른 용도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일반 서민들의 박탈감을 줄이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이석우 선임기자 jun88@seoul.co.kr
2012-10-0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