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활용, 익산·충주시 최고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2-10-11 00:44
입력 2012-10-11 00:00

지자체 중 트위터·페이스북 이용 가장 활발

지방자치단체 행정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각광받고 있는 가운데 전북 익산시와 충북 충주시가 SNS를 적극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가 주최하고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하는 정보문화포럼이 10일 충남대에서 개최한 ‘SNS활용과 지역사회 역량강화’ 세미나에서 서우석 서울시립대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급속한 정보화로 개인주의 추세가 늘어나면서 지역 공동체 기반이 무너진다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SNS는 지역사회의 역량과 이웃 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서 교수팀의 자체 조사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가 만든 트위터의 팔로어(트위터를 구독하는 독자) 기준으로 보았을 때 활동이 활발한 3개 지자체는 전북 익산시, 경기 부천시, 경기 수원시 순이었다. 광역 지자체 가운데 트위터 활동이 가장 활발한 곳은 서울시로 지난 9월 기준 팔로어는 4만명, 트위트 횟수는 1만 6000여건이었다. 기초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전북 익산시는 팔로어 2만 4000명, 트위트 횟수는 4800여건이었다.

같은 조사에서 페이스북 활동이 활발한 상위 3개 기초 지방자치단체는 충북 충주시, 경남 거창군, 충남 논산시였다. 지난해 페이스북을 시작한 충북 충주시는 트위터의 팔로어와 비슷한 개념인 친구와 게시물에 대해 호감을 표현하는 ‘좋아요’ 숫자가 5600여건이었다.

서울시는 SNS에서의 개인 활동을 자원봉사시간으로 인정할 뿐 아니라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와 같은 각각의 SNS를 한데 연동하여 직접 접속하지 않아도 실시간으로 새로 올라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전북 정읍시는 호남권에서 이용자 기준 1위, 전국 지자체 가운데 부산, 서울 다음으로 3위를 차지할 정도로 SNS 운영이 돋보였다.

서 교수는 “지역 간 SNS 활용 능력에 심각한 차이가 있어 전통적인 정보 격차(디지털 디바이드) 현상이 다시 나타나고 있다.”며 “지역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소통 강화와 정체성 특화를 위한 소셜네트워크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2-10-1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