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감사 지침서 하나 없는게 현실, 실무자 역량 키울 지원장치도 열악”
수정 2013-03-21 00:00
입력 2013-03-21 00:00
국내 첫 공공감사 이론서 낸 성용락 감사위원

성용락 감사원 감사위원이 펴낸 ‘공공감사 제도의 새로운 이해’(석탑출판)는 그래서 더 눈길이 가는 책이다.
30년 공공감사 이력의 감사 전문가가 공공기관이 수행하는 감사와 관련한 이론의 모든 것을 400여쪽에 고스란히 펼쳐 담았다.
“공공감사의 중요성에 비해 실무자들의 역량을 높여줄 수 있는 지원 장치는 턱없이 열악합니다. 공공감사 행정은 학계에서도 연구자가 전무하고 그러다 보니 변변한 지침서 하나 없는 게 현실입니다.”
성 위원은 3년 전 감사위원에 부임하면서부터 책의 필요성을 절감했고 곧바로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제대로 된 감사를 하려면 실무자들이 먼저 이론적 토대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판단에서였다.
“대한민국 최고의 감사기관에서 30년 몸담았으면 누구도 하지 못한, 그러나 반드시 필요한 작업을 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생각했다”는 그는 감사연보 5년치를 옆에 놓고 씨름하며 3년여를 보냈다.
이번 책은 그렇게 공들여 만든 공공감사의 이론서로 ‘공공감사의 이론과 실무’란 부제가 붙었다.
최근 한창 정가의 이슈가 된 감사원의 소속 문제에 대해서도 고민해 보게 했다. 책 말미에 미국, 영국 등 주요국 감사원의 위상과 기능을 나란히 소개했다. “감사원이 대통령 직속이냐, 국회 소속이냐를 놓고 따지는 것은 무의미한 논쟁”이라는 성 위원은 “예컨대 미국의 경우 감사원은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은 독립기관일 뿐이며, 공정한 감사를 수행할 수 있는 독립성 보장만이 유일하게 논의 가치가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성 위원은 오는 6월쯤엔 감사사례 연구서를 잇따라 내놓을 계획이다.
그는 “이번 이론서가 행정·정책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보다 직접적인 도움이 된다면, 다음번 책은 현장실무를 하는 감사관들에게 맞춤형 교과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24회 행정고시 출신인 성 위원은 감사원 기획홍보관리실장, 제1사무차장, 사무총장 등 원내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현재 공공감사포럼 회장도 맡고 있다.
황수정 기자 sjh@seoul.co.kr
2013-03-2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