公기관 지방인재 채용 ‘뒷걸음’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05-21 00:14
입력 2013-05-21 00:00

작년 채용자 중 비중 50.9%… 2008년보다 7.6%P나 줄어

공공기관의 신규 채용에서 지방인재(비수도권 대학 졸업자)에 대한 홀대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2008년에는 신입사원 100명 중 59명 정도가 지방인재였지만 지난해에는 51명 수준으로 급감했다. 지방인재 채용을 늘리겠다는 정부와 공공기관의 주장이 한낱 구호에 그쳤음이 서울신문의 분석 결과 드러났다. 특히 지난해 공공기관 7곳 중 1곳꼴로 지방인재 선발이 전무했다. 공공기관의 서울 명문대 위주 채용 관행에 정부의 관리 소홀이 더해져 비수도권 대학 출신의 박탈감은 한층 커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20일 서울신문이 기획재정부 알리오(공공기관 통합경영정보) 시스템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295개 공공기관의 신규 채용인원 1만 5577명 중 지방인재는 50.9%(7934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전년(52.9%)보다는 2.0% 포인트, 2008년(58.5%)보다는 7.6% 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전체의 13.9%인 41개 공공기관은 지방인재를 단 한 명도 채용하지 않았다. 특히 신규 채용의 30% 이상을 지방인재로 충원하도록 한 정부 가이드라인을 지키지 않은 곳이 43.1%(127개 기관)에 달했다. 한국전력(44.4%), 가스공사(37.9%) 등 인기 있는 30개 공기업의 지방인재 채용 비중은 48.6%로 전체 공공기관 평균을 밑돌았다.

강수돌 고려대 경영학부 교수는 “이른바 서울지역 명문대학 출신만 채용하려는 관행은 지역의 숨은 인재를 썩힐 뿐 아니라 국가 전체의 지속 균형 발전에도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기재부 관계자는 “최소 30% 채용 가이드라인을 안 지키는 기관들에는 별도로 개선책을 내도록 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점점 지방인재 채용 비중이 줄어들고 있어 대응책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세종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3-05-2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