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3.0 ‘소통’코리아, 국민이 웃는다] 사전공개 대상 정보 270종으로 확대
수정 2013-07-08 00:20
입력 2013-07-08 00:00
서울시의 정보공개 행보
서울시는 정부보다 앞서 ‘사전 행정 정보 공유 확대’를 선언했다. 후보 시절 박원순 서울시장은 핵심 정책 중 하나로 ‘열린 시정 2.0’을 발표했다. 서울시가 가진 정보를 개방하고 공유해 시민과 소통하고 시민의 시정 참여를 활성화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비공개 정보에 대한 심의도 강화했다. 지난해 정보공개심의위원회를 2개로 늘려 더 많은 안건을 심의하고 비공개 처리 결과에 대한 시민의 이의 신청 없이도 시에서 직권으로 비공개 결정을 재심의하도록 했다. 시의 결정이 옳은지 다시 한번 살펴 시민의 알 권리를 충족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보 공개 분위기 조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조 과장은 “제도를 개선해도 기존 문화를 바꾸지 않는다면 정보 공개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다”면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행정 정보 공개 절차, 빅 데이터 등의 정보 공유와 관련된 내용을 담아 교육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이러한 노력은 지금까지 정부가 발표한 정부3.0 계획에서 소홀히 다뤄진 부분이다.
공개하는 정보량 규모도 개방·공유에 필요한 요건이지만 정보를 잘 분류하고 관리해 유용하게 쓰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체계적인 관리 체계 구축 역시 정부가 보완해야 할 영역이다. 서울시는 2016년 완공을 목표로 ‘서울기록원’을 건립해 그 기능의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기록원은 기록 생산부터 이관, 보존에 이르는 과정을 체계적이고 안전하게 총괄하는 전문 기관이다. 25개 자치구, 교육청 행정 기록 등 종이 문서를 160만권까지 보존할 수 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3-07-08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