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개 스마트폰 이용자 불편 연내 해소”
수정 2013-11-08 00:00
입력 2013-11-08 00:00
자료공개 청구·내려받기 되고 수수료 결제도 할 수 있게 개선
7일 안행부에 따르면 현재 스마트폰 등으로 이용 가능한 정보공개시스템 애플리케이션(앱) 개발 비용으로 총 2억 4892만 6000원(안드로이드용, iOS용 앱 모두 개발)이 투입됐다. 이와는 별도로 전체 유지 보수 비용은 연간 4억 5100만원이다. 앱은 정보공개제도 안내와 더불어 정보목록 검색 및 정보공개청구, 정보공개 청구결과 조회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개발·유지 보수에 7억원에 가까운 막대한 비용이 투입됐지만 현재로서는 앱을 통해 청구한 공공정보를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 내려받을 수 없다. 또 앱에서는 정보공개 청구 과정에서 발생한 수수료를 납부할 수 없어 정보공개시스템 이용이 불편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아울러 스마트 기기로는 사전에 시스템 목록에 올라온 정보 범위 안에서만 정보를 청구할 수 있다. 앱으로는 이용자가 청구 기관과 청구 내용을 직접 정할 수가 없다. 이는 아직 컴퓨터로만 가능한 일이다.
정진임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사무국장은 “정부3.0의 기반이 돼야 할 정보공개시스템이 이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면서 “단순히 정부3.0 구호만을 외칠 게 아니라 정보 개방 및 공유에 있어서 정부가 이용자 편의를 위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부터 살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행부 관계자는 “그동안 모바일 정보공개서비스는 이용자가 컴퓨터로 청구한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확인하는 보조 수단으로서만 기능했던 것이 사실”이라면서 “이용자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약 3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올해 말까지 앱을 통해서도 정보공개 청구를 할 수 있게끔 하고, 문서파일 형태로 공개된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 내려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수수료 결제도 가능한 시스템 등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3-11-0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