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전통문화상품 판로 지원 정부부처도 외면
수정 2013-11-19 00:16
입력 2013-11-19 00:00
올해 조달 실적 18억대 그쳐

18일 조달청과 정부조달문화상품협회 등에 따르면 올 들어 11월 현재 전통문화상품 공급액은 18억 2000만원으로 집계됐다. 2001년 29억 6200만원을 기록한 뒤 매년 하락하는 추세로 지난해 공급액은 22억 8900만원이다.
조달청은 공공기관의 전통문화상품 이용 활성화 계획을 마련, 정부대전청사에 있는 전시판매장을 리모델링하고 안전행정부·문화재청·지방자치단체·공예조합 등과 양해각서도 교환해 상품 다양화 기반도 마련했다.
그러나 공공기관의 무관심은 여전하다. 48개 중앙행정기관 중 구입 실적이 있는 부처는 10개, 1억 3700만원에 불과했다. 전통문화상품과 직접 관련이 있는 안행부와 문화재청조차 구입액이 100만원에 그쳤다. 그마저도 소속기관에서 구입했다. 38개 기관은 이용 실적이 없다.
그나마 대전청사에 한 곳밖에 없는 전시판매장은 정부청사 보안 강화에 따른 출입 불편으로 월 매출이 1000만원에 불과하다.
구입 제품도 가야금과 거문고, 북, 장구 등 교육 목적의 악기에 집중됐다. 악기류 공급 실적이 16억 900만원으로 전체 매출의 88.4%를 차지한다.
지난해에는 공급액(22억 8900만원)의 94%가 악기류로 조사됐다. 악기 외에 유기제품이 5400만원, 도자기(찻잔·식기세트) 4200만원, 향토명품 3300만원, 목공예품 1000만원 등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전통문화상품은 수작업에 따른 소량 생산체제로 가격이 높고 다양한 제품 생산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전통문화상품협회 관계자는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기념품이나 포상품, 귀빈 선물, 해외 방문 기념품 등으로 활용해 민간으로 확산하자는 취지인데 수요기관의 관심이 적다 보니 운영조차 버거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3-11-1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