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문서 ‘광업·미곡’ 펴내… 14년 해제 작업 마무리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12-26 00:00
입력 2013-12-26 00:00

日 수탈 실상 자료 파악 쉬워져

평북 운산군에는 352㎢에 달하는 넓은 광업지역이 있었다. 이곳이 당시 동양 최대 금광이었던 ‘운산금광’이다. 1895년 미국인 모오스가 조선 왕실과 채굴 계약을 하고 40년 이상 운영하다가 1939년 일본광업주식회사에 넘겼다. 운산금광 매매 과정에는 일본 대장성이 깊이 개입했다. 금광 매매 금액은 3000만원(817만 5000달러)이었으며 3회로 분할 송금하되 대장성이 송금을 승인하고 편의를 제공하기로 해 매매 계약이 체결됐다. 이러한 이야기는 ‘일제문서 해제’의 마지막인 ‘광업·미곡편’에 실려 있다.

국가기록원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조선 수탈 정책의 실상을 보여 주는 ‘일제문서 해제’ 작업을 마무리했다고 25일 밝혔다. 지난 2000년부터 고어체·흘림체 일본어로 돼 있는 조선총독부 문서를 풀어 ‘경무(警務)편’을 낸 뒤 외사편, 이재편, 학무편, 법무편 등을 매년 발간해 일제 정책의 실상과 의미를 이해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 시리즈를 마무리하는 ‘광업·미곡편’은 열네 번째 책자다. ‘미곡’과 관련해서는 1930년대 조선과 일본에 풍년이 들자 쌀 가격 하락을 막기 위해 미곡창고를 건설하고, 조선 쌀을 일본으로 대량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책을 폈다고 기록돼 있다. 이번에 발간된 해제집은 국공립 도서관과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등에서 볼 수 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3-12-2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