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상주 동학교당·김천흥 전통예술… 기록물 6885점 영구보존 지정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3-12-31 03:41
입력 2013-12-31 00:00
국가기록원은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록물과 상주 동학교당 기록물, 심소 김천흥의 전통예술 관련 기록물을 국가지정기록물로 새로 지정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이번에 새롭게 지정된 국가지정기록물은 사회복지법인 ‘나눔의 집’이 갖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록물 3060점, 상주 동학교당 기록물 289종 1425점, 사단법인 한국춤문화자료원이 소장한 심소 김천흥 전통예술 기록물 2400점이다.

위안부 관련 기록물에는 고(故) 김순덕 할머니가 그린 ‘끌려감’, ‘못다 핀 꽃’ 등과 피해증언 구술기록, 심리검사, 기자회견·집회 영상자료, 유품 등이 있다.

상주 동학교당 기록물은 영남과 강원지역에서 활동한 남접(南接) 계열 상주 동학교에서 1890년부터 1950년 전후까지 포교하면서 생산한 전적, 판목, 복식, 교기, 의기 등이다. 근대 종교문화뿐만 아니라 일제강점기 종교탄압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조선의 마지막 무동(舞童)’으로 불린 전통예술가 김천흥의 기록물에는 대본과 프로그램, 의상 등이 포함됐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3-12-3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