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서발 KTX 시동…이번주 출범·인사
수정 2014-01-06 03:41
입력 2014-01-06 00:00
대표이사에 김복환 본부장

연합뉴스
코레일 자회사인 수서발 KTX 법인의 지분 구조는 코레일 41%, 공공자금 59%이며 코레일이 1대 주주로서 경영권을 갖는다. 우선 자본금 50억원 규모로 출발하고 2분기에 재무적 투자자 개념의 공공자금을 유치할 계획이다. 민간 자본은 참여하지 못하고, 공공자금이 빠져나갈 때도 민간 매각이 금지된다.
초기사업비 1600억원 가운데 50%는 자기자본금, 50%는 차입금으로 조달한다. 그러나 자기자본금에는 차량 등 자산이 포함돼 코레일의 현금 투자 규모는 크지 않을 전망이다.
경영효율화를 위해 조직과 인력은 최소화하기로 했다. 3본부 2실 8처, 정원 430명만으로 이끌고 간다. 기관사, 승무원, 본사 인력 등 필수 부문을 뺀 정비, 공동구간 역사, 정보 시스템 운영 등은 코레일에 아웃소싱하기로 했다. 저비용 구조로 기존 코레일과의 경쟁을 유도하는 것이다.
경영 자율성은 최대한 보장된다. 다만 요금·안전·서비스 수준 등은 철도법에 따라 정부가 규제한다. 우선 개통 시기에는 서울역 출발 기준 대비 요금을 10% 정도 낮게 책정할 방침이다. 그렇지만 선로 사용료는 영업수익의 50%를 낸다. 현재 코레일이 부담(31%)하는 것보다 높은 수준이다.
인력도 단계적으로 충원한다. 우선 코레일에서 코레일 파견자, 전직 희망자 50여명으로 법인을 출범시키고, 올해 말까지 정원의 50%를 뽑기로 했다.
하루 평균 여객 수요는 2016년 수서~부산 4만 722명, 수서~목포 노선 1만 4066명 등 5만 4788명으로 국토부는 예상했다. 2025년에는 5만 6915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국토부는 “1분기에 열차운행 계획과 인력수급 계획을 확정, 기관사 등 필수 인력을 채용하고 2분기에는 공공자금 유치를 위한 투자 설명회를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4-01-06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