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세 이상 여성 54% “일하고 싶다”… 맞춤 일자리 절실
수정 2014-01-07 03:03
입력 2014-01-07 00:00
‘고령여성 인력개발’ 보고서

6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고령 여성 인력 개발 인프라 강화 및 생애 후반기 역량 강화 지원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만 55세 이상 여성 2048명을 대상으로 취업 의사를 물어본 결과 절반 이상인 53.9%가 ‘일을 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일할 의사가 있다고 답한 대상자는 연령대별로 ▲만 55~59세 여성 중 80.7% ▲60~64세 여성 중 69.7% ▲65~69세 여성 중 55.9% ▲70~74세 여성 중 38.1%가 일을 원한다고 했다. 하지만 연령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취업률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 60세부터 ‘나이 때문에 취업을 거절당해 일을 못 한다’고 답한 비율이 많아졌다.
조사 대상자 중 ‘지난 1주간 1시간 이상 수입 목적으로 일한 경험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49.1%였다. 이 중 만 55~59세 여성의 경우 23.2%만이 일한 적이 없다고 답한 반면 60~64세는 33.8%, 65~69세는 48.8%, 70~74세는 66.0%가 1주간 근로 경험이 없다고 응답했다.
정부는 ‘맞춤형 취업 지원’과 ‘여성 경제활동 확대’ 등을 국정과제로 정할 만큼 여성 일자리를 강조하고 있다. 또 고령 여성 증가와 더불어 이들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 개발에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 연구원의 설명이다. 보고서는 “구직 활동을 하고 있는 고령 여성이 일자리를 구하면서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은 나이 든 사람을 채용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렵다는 점”이라며 “노년 전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직업훈련과 관련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4-01-0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