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 민간이 원하는 형태로 제공
수정 2014-09-17 00:00
입력 2014-09-17 00:00
교육·건축·교통 등 30여종 대상
안전행정부는 16일 공공 데이터 전략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공공 데이터 개발 발전전략’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우선 TF의 결정에 따라 주민, 법령, 전자조달, 국세,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건축행정, 건강보험진료심사, 자동차, 사회복지통합망 등 대규모 공공 데이터 중 ‘국가 중점 개방 데이터’ 30여종을 선정해 민간이 원하는 형태로 개방하기로 했다.
또 지방자치단체나 기관별로 서로 다른 데이터 제공 형태와 용어도 통일시켜 기업이나 개인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정비할 방침이다. 이로써 주차장이나 공원 정보 등 활용도가 높은 핵심 데이터 100개의 제공 형식이 표준화된다.
특정 소프트웨어를 보유하지 않아도 자유롭게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오픈포맷’의 비중을 2017년까지 50% 이상 확대하기로 했다. 각 기관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더 간편하게 ‘공공 데이터 포털’(data.go.kr)에 등록되고 유통될 수 있도록 데이터 연계·공유 표준도 제시된다.
박경국 안행부 1차관은 “데이터 활용 유망 기업을 본격 지원하고, 대기업과 창업기업의 협력 확대를 유도해 상생하는 데이터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조현석 기자 hyun68@seoul.co.kr
2014-09-17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