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욕탕 아껴 쓴 전기 되팔아 수익 올린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11-04 03:48
입력 2014-11-04 00:00

정부, 전력거래시장 25일 개설

공장이나 빌딩, 마트, 목욕탕 등이 목표치를 정하고 전기를 아껴 쓰면 중개업체(수요관리사업자)가 이를 모아 되팔아 일부 이익을 공유하는 시장이 열린다.

이미지 확대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아낀 전기를 판매할 수 있는 전력 거래시장을 오는 25일 개설한다고 밝혔다. 이 시장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소비자는 기존 사용량보다 적게 전기를 쓰겠다는 계약을 중개업체와 맺으면 된다. 이후 수요관리사업자가 고객이 아낀 전기를 모아 전력거래소를 통해 한국전력에 판매하고 수익을 나누는 구조다.



이 제도는 과거 전기 사용을 줄인 공장이나 빌딩에 주던 ‘인센티브제’와는 다른 개념이라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과거 제도는 전기 소비를 줄인 최종 소비자에게 이익을 주는 주체가 정부였지만 전력거래 시장에서는 주체가 한전이다. 최종 소비자가 아낀 전기를 모아 민간 중개업체가 한전에 팔아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시장이 열렸기 때문이다. 남은 전기를 한전 측에 되파는 일종의 전기 도매상이 생긴 셈인데 이는 아이디알서비스(IDRS), 벽산파워 등 11개 사업자가 수요관리사업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전기를 많이 쓰는 사업자는 전기절약으로 취할 수 있는 이득이 적지 않다. 실제 서울 노원구에 있는 한 사우나는 연간 전기 사용량을 종전보다 90㎾(30%) 감축하는 계약을 수요관리사업자와 맺을 계획이다. 이 사우나의 연간 예상수익은 아낀 전기판매액 485만원과 전기요금 절감액 103만원을 합해 588만원이다. 빌딩이 연간 100㎾를 줄이면 655만원, 마트가 50㎾를 덜 쓰면 327만원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산업부는 추정했다. 그러나 돈을 벌 생각에 무턱대고 무리한 목표치를 써내면 전력거래 정지와 같은 제재를 받게 된다. 산업부는 이번 제도로 2017년까지 약 190만㎾, 액화천연가스(LNG) 발전기 4기 규모의 전기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4-11-0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