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상권·국민 의료정보 등 10대 공공데이터 내년 집중 개방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수정 2014-12-30 21:40
입력 2014-12-30 18:02

연간 6000억 이상 비용 절감

국무총리 소속 ‘공공데이터 전략위원회’는 부동산 종합정보, 전국 상가·상권정보, 진료·투약·건강정보 등 국민 실생활에 파급효과가 큰 10대 분야 대용량 데이터를 내년에 집중 개방한다고 30일 밝혔다. 대학생, 개발자 등 다양한 국민이 선택한 36대 분야 ‘국가 중점 개방 데이터’도 2017년까지 민간에 개방한다.

정부는 공공기관이 개방 대상 데이터를 선정하는 기존 방식으로는 민간 활용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는 지적에 따라 국민이 개방 데이터를 선정하도록 하고 개방 용량도 확대하는 ‘데이터 빅뱅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내년에 우선 개방 데이터로 10대 분야를 선정하고 데이터 개방 품질도 개선할 계획이다.

부동산 종합정보는 680만개 이상 건축물정보, 토지정보, 공시지가 등을 담은 부동산서류 23종을 공간정보와 통합한 것이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보유한 상가데이터 270만개는 인터넷 포털, 통신사, 신용카드사 등의 협조를 받아 데이터 품질을 개선해 공개한다. 또 병의원·약국 이용 내역과 건강검진 결과 등 1600억건에 이르는 전 국민 의료정보도 개인정보보호 대책을 마련한 후 민간에 제공한다.

행정자치부는 내년에 10대 분야 공공데이터를 개방하면 연간 6000억원 이상 비용을 절감하고 서비스를 창출하는 경제 효과를 거둘 것이라고 예상했다. 정재근 차관은 “개방 즉시 민간에서 활용 가능한 수준의 고가치·고수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개방해 나갈 계획”이라며 “데이터 개방이 창업으로 이어지도록 아이디어 발굴부터 사업화까지 일괄 지원 체계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4-12-3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