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기관 절반 수도권 편중… 강남구, 울릉군의 276배

이현정 기자
수정 2015-05-13 01:13
입력 2015-05-12 23:50
심평원, 지난해 전국 현황 분석
1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4년 전국 요양기관 현황’ 자료를 보면 전국 요양기관은 8만 6629개로, 이 가운데 49.7%가 서울·경기·인천에 집중돼 있고 서울 강남구의 요양기관(2761개)은 경북 울릉군보다 276배 더 많았다.
심평원은 “강남구 인구수는 울릉군보다 56배 더 많으나 요양기관 수는 276배 더 많아 인구 대비 요양기관 분포 불균형이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강남구는 병·의원, 치과병·의원, 한의원, 약국 수에서 모두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반면 울릉군은 보건소와 한의원밖에 없었다. 주로 고령자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병원은 경남 김해시(28개)에 가장 많았고, 한방병원은 광주 북구(24개)에 몰렸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의 요양기관 수는 전년보다 1.95% 포인트(1658개) 증가했다. 늘어난 요양기관 중에는 의원이 555개로 가장 많았다. 한방병원은 증가세가 확대된 반면, 요양병원의 증가세는 다소 주춤하는 양상을 보였다.
인구 1만명당 요양기관은 16.88개로, 기초자치지역 중 가장 많은 곳은 대구 중구(66.74개)였다. 반면 가장 적은 곳은 부산 강서구(8.92개)로 나타났다. 국토 면적 1㎢당 요양기관 수(밀도)는 지난해 기준으로 0.86개였다.
기초자치지역 중에는 대구 중구가 1㎢당 74.50개로 밀도가 가장 높았다. 밀도가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 인제군과 경북 영양군으로 각각 1㎢당 요양기관이 0.03개였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5-1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