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심폐소생술 교육 비표준화… 보건 교사·교구도 부족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수정 2015-05-21 00:34
입력 2015-05-20 23:54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가운데 96.7%, 중학교 2학년 중에서는 94.8%, 고등학교 1학년생은 91.4%가 지난해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았다. 얼핏 심폐소생술 교육이 잘 이뤄지는 것 같지만 구체적인 실태를 들여다보면 꼭 그렇지도 않다.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할 보건교사와 교구가 태부족이고 교육 내용도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20일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1만 1614개 초·중·고교 가운데 심폐소생술 교육용 인형을 보유한 비율은 전체 초등학교 중에서는 73.8%, 중학교는 46.1%, 고등학교는 58.3%로 나타났다. 심폐소생술 교육에서는 이론과 함께 실습이 중요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제대로 된 교육이 이뤄지고 있는지 의문이 제기된다. 학교보건법 개정에 따라 2014년부터는 학생들에게 심폐소생술을 의무적으로 가르쳐야 하지만 심폐소생술을 가르칠 보건교사도 부족하다. 교육부가 국회입법조사처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초·중·고교 가운데 보건교사가 배치된 비율은 63.3%에 그쳤다.



심폐소생술을 교육하는 곳이 다양하다 보니 교육 내용도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현재 국민안전처, 대한적십자사, 대한심폐소생협회, 대한인명구조협회, 산업안전교육원을 비롯한 다양한 민간단체에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을 가르치고 있지만 통일된 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5-05-2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