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인사행정 발전 위해 머리 맞댄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송한수 기자
송한수 기자
수정 2015-08-21 01:10
입력 2015-08-20 23:48

31일~새달1일 ‘인사장관 회의’

일본 인사원에서 일하는 공무원 이노우에 사토시는 우리나라 중앙인사위원회에서 연수했다. 2004년 10월 25일부터 넉 달 남짓한 짧은 기간이었다. 그러나 ‘친한파’를 자처할 정도로 친근감을 갖게 됐다. ‘한국의 공무원제도 현황 및 주요 추진정책 조사·연구’라는 과제를 받아 각 부서에서 일주일 단위로 순환근무를 마쳤다. 직원들과 체육활동, 단합대회 등에도 적극 참가했고, 중앙인사위 직원들을 대상으로 일본어 강좌도 꾸리는 등 인기를 얻었다. 파견근무를 마친 뒤엔 한·중·일 인사행정 네트워크를 담당하는 국제과로 발령을 받았다. 2010년엔 일본을 방문한 한국 공무원들을 집으로 초대해 우정을 재확인했다.

이미지 확대
한국과 중국, 일본 인사행정 공무원들의 교류를 위한 ‘인사장관 회의’가 올해로 10주년을 맞았다. 지리적 인접성과 문화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인사 시스템 공유 등을 통해 공동 번영을 꾀하는 모임이다. 2002년 우리나라가 제안해 2005년 성사됐다. 제7회 회의가 오는 31일과 다음달 1일 서울 용산구 소월로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열린다. 각국 현안에 밀려 중단된 지 5년 만이다. 한국 대표로 이근면(왼쪽) 인사혁신처장, 중국에선 신창싱(信長星·가운데) 인력자원사회부장부 차관, 일본에선 이치미야 나호미(오른쪽) 인사원 총재가 나선다. 첫날에는 인사행정 경험을 공유하고 발전방안을 논의하며 다음날엔 2011~2015년 협력사업을 점검하고 신규사업을 제안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어 3개국 대표들이 자유토론을 벌인다.



3개국은 그동안 핵심인재 발굴, 역량 강화, 채용, 위기상황에서 바람직한 인사관리 등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8차례 열었다. 2006~2009년엔 인사기본법, 성과평가제도, 채용제도 비교 등에 대한 공동 연구 성과도 발표했다. 2007년부터 지금까지 8차례에 걸쳐 중간관리자 과정을 통해 직접적인 교류도 추진했다. 이 처장은 “정부 인적자본 관리 시스템을 개발, 공유하고 3국 간 상호 이해와 협력을 증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5-08-2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