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 목재체험장, 국내 첫 산림탄소흡수량 인증 취득

박승기 기자
수정 2016-01-21 23:32
입력 2016-01-21 23:18
소나무 6.5그루 60년 키운 분량 “향후 산림 활용 확산 계기 기대”

산림탄소상쇄사업은 산림청이 산림을 활용해 2013년부터 시행한 온실가스 배출 저감사업이다. 기업이나 산주·지방자치단체 등이 산림조성(조림과 재조림)과 산림경영(숲가꾸기 등), 목제품 이용 등 탄소흡수원 증진 활동을 통해 확보한 산림탄소흡수량을 정부가 인증해 주는 제도다.
사업 주체가 산림탄소센터에 사업을 등록해 인증을 받는 데 최소 1년에서 최대 5년이 소요된다. 바이오매스 에너지 이용이 1년으로 가장 짧고 목제품 이용은 2년, 조림과 산림경영 등은 각각 5년이다.
현재 국내에 등록된 사업은 73건으로 연간 7888t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규모다. 공장 가동 연료를 기름에서 팰릿으로 대체하는 바이오매스 사업이 상대적으로 흡수량이 많다. 최대 사업은 기업과 시민단체가 추진 중인 산림경영으로 흡수량이 연간 2800t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올해 안에 기업에서 추진하는 거래형 흡수량 첫 인증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거래형 탄소흡수량은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다.
이미라 산림청 산림정책과장은 “첫 인증 규모가 작지만 산림을 활용한 최초의 사례로 확산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6-01-2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