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이 말하는 정책이야기] 안정태 행자부 과장에 들어본 ‘다문화 정책’

송한수 기자
수정 2016-03-29 02:23
입력 2016-03-28 23:34
외국계 주민 174만명 조기 정착 지원
행자부는 외국계 주민의 지역사회 조기 정착을 위해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원조례 제정 및 정비, 전담 부서 설치 및 인력 확충 등 지역 특성에 맞는 시스템 구축을 돕습니다. 아울러 외국계 주민이 많은 경기 안산시(8만 3648명), 서울 영등포구(6만 6952명), 인천 남동구(1만 8715명) 등에 지원센터나 다문화홍보관, 다문화경로당, 쉼터 등을 세워 지역 주민과 교류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한편 인천 차이나타운, 서울 용산구 이태원 등에 특화거리를 조성해 세계 각국의 문화를 이해하는 명소로 가꾸도록 애씁니다. 특히 한국어 교육 등 지원사업을 종합·포괄적으로 운영해 지역 실정에 걸맞은 지원을 뒷받침할 것입니다.
이주민의 정착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초기 정착 지원 단계를 뛰어넘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북돋는 게 중요합니다. 2015년 말 현재 전국 공동체 1193곳에서 4만 4531명의 외국계 주민이 활동 중입니다. 공동체 중 절반이 문화 교류를 통한 인식 개선(19.5%) 및 봉사 활동(18.9%)을 통해 지역사회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예컨대 인천 중구의 다문화 가족 자조 모임인 ‘손녀시대’는 매월 노인시설을 찾아 어르신들에게 마사지 봉사 활동을 하며 손녀 역할을 톡톡히 합니다. 대가를 바라지 않고 줄곧 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외국계 주민들을 보며 우리 다문화 사회의 미래는 밝다고 여겼지요. 올해 10월엔 지방자치의 날을 기념해 각 지역에서 활동하는 외국계 주민 동호회 중 시·도 예선을 거쳐 선발된 17개 공연단의 경연대회도 열어 외국계 주민들이 마음껏 끼를 발산하고 주민 화합을 다지는 축제로 만들려는 포부도 있습니다.
앞으로도 우리 사회가 ‘다름’이나 ‘틀림’이 아닌 ‘차이’로 인정하고 서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늘림으로써 소통과 공감을 바탕으로 한 다문화 사회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맡은 바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6-03-2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