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요양원 안전 허점 여전…19곳 현장점검 117건 적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최훈진 기자
수정 2016-04-24 19:43
입력 2016-04-24 18:10

소화 경보시설 미비 가장 많아

인구 고령화에 따라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민간 요양병원의 안전관리가 여전히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2년 전 21명이 질식사하는 등 인명피해를 낳은 장성 요양병원 화재 사건을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민간 요양병원 주무 부처인 보건복지부와 각 자치단체가 안전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안전처는 전국 1372개 요양병원 가운데 19곳의 안전 관리 실태를 현장 점검한 결과 피난·방화 시설 미비, 장해물 적치, 소방시설점검 부실, 유도등 미설치 등 117건의 위험요소를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안전처가 현장 점검에서 적발한 위험요소 사례를 구체적으로 보면 소화 경보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고 피난시설을 폐쇄·훼손·변경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경기도에 있는 한 요양병원에서는 17건의 위험요소가 발견됐다.

안전처는 오는 27일까지 보건복지부와 지자체, 해당 요양병원에 위험요소를 개선하도록 하고, 다음달 중순 재점검에 나설 방침이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04-2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