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특허 ‘주행제어’ 뜨고 ‘기계장치’ 지고

박승기 기자
수정 2016-05-22 22:26
입력 2016-05-22 21:08
10만 5171건 출원 6년째 증가…자율주행 등 신기술 출원율 ‘껑충’
22일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자동차 분야 특허출원은 10만 5171건으로, 특히 2009년(8020건) 이후 6년 연속 증가했다.
2006년(9630건) 최고치를 기록한 뒤 감소 추세를 보이던 내국인 출원이 10년 만인 지난해(9728건) 기록을 경신하는 등 기술 개발이 활발하다.
기술별로는 자율주행과 관련된 주행제어 기술이 2006년 178건에서 2015년 907건으로 410%, 전기차 기술은 252건에서 647건으로 157% 각각 급증했다.
반면 전통적인 기계로 충격을 흡수해 승차감을 좋게 하는 현가장치는 393건에서 262건으로, 조향장치는 1247건에서 1066건으로, 차량부품은 1584건에서 1337건으로 각각 33%, 15%, 16% 감소했다.
핵심인 엔진 관련 기술에서는 엔진제어와 엔진배기 기술이 각각 43%, 55% 증가해 엔진제어를 통한 연비 향상 및 배기가스 청정과 관련된 기술의 증가세를 보여줬다.
출원인을 살펴보면 내국인이 82%(8만 6182건)를 차지했다. 외국인을 국가·권역별로 나누면 유럽(8%), 일본(6%), 미국(3%) 등의 순이다. 유럽차의 수요 증가에 따른 부품공급 확대 등 시장 변화를 반영했다. 출원인별로는 현대·기아차가 2만 3355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현대모비스(4788건), 한온시스템(2761건), 한라홀딩스(2622건) 등 순으로 출원을 주도한 가운데 부품 업체들의 개발이 활발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6-05-2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