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 50% 불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수정 2016-09-29 02:10
입력 2016-09-28 23:08

국민전체 수검률보다 22%P 낮아… 장애인 진료비 국민 평균의 3.9배

이미지 확대
건강검진을 받는 중증장애인이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28일 발표한 ‘장애와 건강통계’ 자료에 따르면 장애 1~3급 중증장애인의 일반건강검진 수검률은 50.1%로 전체 국민 수검률 72.2%보다 22.1% 포인트 낮았다. 전체 장애인의 건강검진 수검률(63.3%)도 전체 국민 수검률보다 8.9% 포인트 낮았고, 특히 저소득층인 의료급여 수급 장애인의 건강검진 수검률은 39.4%로 가장 낮았다.

또 전체 국민은 건강검진에서 47.5%가 질환이 없다는 ‘정상’ 판정을 받은 반면, 장애인은 29.7%만 ‘정상’ 판정을 받았다. 건강검진을 받은 사람 가운데 질환이 있다는 의미인 ‘유(有)질환’ 판정을 받은 장애인은 33.7%로, 전체 인구 유질환율 17.0%보다 16.7% 포인트 높았다. 많은 장애인이 질환이 있는데도 검진을 받지 않고 병을 키우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만성질환에 걸린 장애인은 전체 국민 평균 진료비보다 3.9배를 더 부담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장애인은 장애 관련 질환뿐만 아니라 만성질환과 중증질환을 함께 보유하고 있어 진료비도 더 들고, 이중 고통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더 세심하게 건강을 관리해야 할 장애인의 건강검진율이 비장애인보다 낮은 이유는 건강검진 ‘접근성’이 떨어져서다. 건강검진을 할 때는 물론 일반 진료에도 특수 장비가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건강검진을 하는 의료기관 가운데 장애인에 특화한 의료 장비를 갖춘 곳은 매우 드물다.



임을기 복지부 장애인정책과장은 “장애인이 더 쉽게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내년 말부터 장애인 건강검진 의료기관을 지정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장애 유형과 정도, 연령, 생애 주기별 건강검진 항목을 설계하고 검진 비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9-2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