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성·식품매개 집단 감염 작년 422건… 3.2% 증가

이현정 기자
수정 2016-11-17 18:21
입력 2016-11-17 18:14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18% 1위
질병관리본부는 17일 발표한 ‘2015년도 감염병 역학조사 연보’에서 지난해 422건의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집단 사례가 보고됐고 환자는 모두 7175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집단발생은 동일한 장소와 시간대에서 2명 이상 환자가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병원체별 발생 건수는 노로바이러스 79건(18.7%), 병원성대장균 26건(6.2 %), 식중독균의 일종인 캄필로박터 제주니 22건(5.2%) 순이었다.
인수(人獸) 공통감염병인 큐열 발생 신고건수는 2011년 8건에서 2015년 27건으로 크게 늘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축산업 등의 고위험 직업군에서는 가축 접촉 및 가축 분만 장소 방문이 위험 요인이었고 동물접촉과 관련 없는 비위험 직업군에서는 생고기 섭취가 주요 위험요인이었다”고 분석했다. 반면 같은 인수공통감염병인 브루셀라증은 2006년 이후 사람과 가축 모두에서 감소해 지난해는 감염자가 1명에 그쳤다.
모기가 옮기는 말라리아는 2011~2013년 감소하다가 2014년부터 증가했다. 경기 파주·김포·연천, 인천 강화·중구, 강원 철원 지역의 발생 수가 국내 전체 발생 건수의 69.4%를 차지했고 파주, 김포, 강화, 중구 지역은 민간인의 비율이 높았으며 철원, 연천 지역은 군인과 제대군인(제대 후 2년)의 비율이 높았다.
오송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11-1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