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기사 75% “주 70시간 근무”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수정 2016-12-04 21:13
입력 2016-12-04 20:54

평균 76.8시간… 근로법의 2배

택배기사 4명 중 3명은 주 70시간 이상 격무에 시달린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CJ대한통운 택배기사 권리찾기 전국모임’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특수고용형태 택배 노동자의 현실과 노동기본권 찾기 토론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전국 CJ대한통운 택배기사 3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75.0%가 주 70시간 이상 근무하고 있다. 주 90시간 일하는 택배기사도 전체의 17.6%에 이르렀다. 주 평균 근무 시간은 76.88시간으로, 근로기준법 기준인 주 40시간의 2배에 가까웠다. 택배기사의 평균 퇴근 시간은 오후 8시간 48분이었다. 택배기사는 늦어도 오전 7시에 출근한다.

휴식 환경도 열악했다. 응답자의 47.5%는 ‘점심을 별도로 먹지 못한다’고 답했다. 또 ‘식사시간을 제외한 휴게시간’ 문항에 97.3%가 ‘없다’고 답했다. 평균 수면시간은 5시간 28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의 한국인 하루 평균 7시간 41분보다 2시간 13분 적다.

응답자의 지난 10월 평균 실수령 월급은 329만 4500원이었다. 같은 노동시간에 최저임금을 적용하면 고작 22만 4988원을 더 받는 셈이라고 모임 측은 주장했다.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원은 “다수 특수고용 직종은 근로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노동법의 보호에서 배제돼 있어 사회적 보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12-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