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폐사 떼까마귀서 AI 바이러스 검출 안돼

박승기 기자
수정 2017-01-23 15:15
입력 2017-01-23 15:07

떼까마귀는 시베리아와 몽골, 중국 동북부지역에 서식하다 월동을 위해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겨울철새다. 농경지나 개활지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저녁에 도심주변에서 휴식하는 등 고니·오리 등 물새류와 습성이 달라 AI에 감염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다만 과학원은 “해외에서 일부 감염사례가 보고돼 죽거나 병든 새를 만지거나 접촉하지 말고 지자체에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