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 박멸엔 할미꽃 뿌리, 배탈 났을땐 질경이·삽주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17-04-12 01:00
입력 2017-04-11 22:28

생물자원관, 전통지식 발굴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11일 강원도 3개 국립공원과 전통마을의 생물자원 전통지식 조사를 통해 전통지식 2500여건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질경이
질경이
자원관은 ㈜동북아생물다양성연구소와 함께 지난해 6~11월 설악산·오대산·치악산국립공원 주변 지역과 사천 갈골마을·인제 냇강마을 등 72개 마을에 거주하는 167명의 현지주민을 면담했다. 이를 통해 식물·어류 등 426종의 생물자원과 관련된 2495건의 전통지식을 찾아냈다.
이미지 확대
할미꽃
할미꽃
지역별로는 오대산이 996건으로 가장 많고 치악산(869건), 설악산(345건), 전통마을(285건) 등이다. 전통지식 제공자는 70∼80대의 고령층으로 약 85%에 달하는 정보가 수집됐다. 생물자원을 이용한 전통지식은 삽주·질경이·참취·익모초 등 식물을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한 사례들이다.

질경이와 삽주·삼취는 나물 등으로 먹기도 하지만 70~80년 전부터 배탈이 나거나 체했을 때 약으로 활용했다. 익모초는 더위를 먹거나 화상을 당했을 때 사용하기도 했다. 할미꽃은 화장실의 파리나 구더기를 없앨 때 뿌리를 찧어 물에 타서 뿌렸고, 뱀에 물렸을 때 할미꽃을 반으로 갈라 물린 부위에 붙였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7-04-1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