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드론 순찰대’ 운영… 위험지역·해안 등 중점 관리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17-06-15 23:45
입력 2017-06-15 22:58
환경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산악 고지대와 해양 도서지역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립공원 무인기(드론) 순찰대’를 운영한다고 15일 밝혔다. 무인기 순찰대는 국립공원에 산재한 샛길과 위험지역, 해상·해안공원 등에 대한 순찰 강화를 위해 시범 조직됐다. 특별단속팀과 무인기 운용한 직원 등 60명으로 29개 공원사무소별로 2명씩 배치됐다.

무인기 순찰대는 한려해상 등 해상·해안 국립공원 특정도서 지역에서의 취사·야영·해양쓰레기 투기 등 환경오염 행위와 풍란 등 멸종위기종 무단 채집 및 반출행위 등의 감시에 활용할 예정이다. 지난 14일에는 지리산국립공원에서 무인기 순찰대 발대식을 열고 노고단·성삼재·화엄사 일원에서 무인기를 활용한 순찰 및 단속 시범을 벌이기도 했다. 공단은 2014년부터 무인기 도입해 공원관리와 각종 단속 활동에 투입하고 있다. 한편 공단 직원 1인당 관리면적이 국제축구장 규모의 333배인 2.75㎢에 달해 관리 사각지대 발생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고려해 공원관리소별로 5명까지 무인기 순찰대를 확대할 계획이다. 증원 인력은 내부가 아닌 외부 전문가 채용 방식으로 알려졌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7-06-1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