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영희 ’ ‘힘센 철수 ’… 초등교과서 성평등 낙제점

민나리 기자
수정 2017-11-28 02:38
입력 2017-11-27 23:08
교과서 성차별 요소 모니터링

교과서 속 여성은 가사와 양육의 주체나 수동적인 역할로, 남성은 전문적인 직업의 주체나 적극적인 역할로 등장했다. 6학년 체육 교과서에 사용된 배드민턴 경기 삽화에서 응원단은 모두 여성으로, 선수와 심판은 모두 남성으로 묘사함으로써 체육 활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은 남성이 하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했다. 5학년 실과에서는 가정통신문을 읽는 사람을 ‘엄마’로 한정함으로써 양육의 책임을 여성이 전담하는 것으로 표현했다. 반면 3학년 과학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종사자로 남성 연구원의 사진만 사용했으며, 4학년 도덕에서는 남북 회담에 참여한 주체를 남성으로만 표현했다.
민근식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양성평등사업팀장은 “1·2학년 교과서의 경우 올해 개정판이 나온 것인데도 미흡한 성평등 의식이 드러났다”면서 “2008년 교육부의 여성정책담당관 자리가 없어진 것도 한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교육부는 올해부터 ‘인권친화적 교과서’를 목표로 삼아 교과서 집필과 발행, 발행 후 수정·보완 단계에서 인권요소 분석표를 교과서 제작자 측이 제출하도록 했다. 분석표를 통해 양성평등, 다문화, 장애, 직업, 종교에서의 차별 요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다. 이지은 교육부 교과서정책과 연구사는 “해당 정책이 반영되기 전에 발행된 1·2학년 개정 교과서는 내년도에 수정·보완될 예정이며, 향후 개정될 교과서들은 집필 단계에서부터 인권 요소를 면밀히 살필 것”이라면서 “성평등만을 따로 다루기보다 인권이라는 큰 틀 안에서 함께 다룰 계획”이라고 말했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2017-11-28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