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플랫폼 구축, 주민은 문제 해결…디지털 기술 활용 ‘살기 좋은 마을’로

오경진 기자
수정 2018-06-20 23:49
입력 2018-06-20 22:52
‘공감e가득’ 20개 사업 추진
행정안전부는 주민이 직접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마을의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 혁신을 이뤄낼 수 있도록 하는 ‘공감e가득’ 사업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온라인으로 주민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플랫폼 개발부터 저출산·고령화 대응, 장애인 보호, 안전·환경 개선, 공동체 지원 등 5개 분야에서 20개 사업을 정했다. 지역마다 주민이 직접 ‘스스로 해결단’을 꾸려 사업을 운영한다. 공무원, 전문가는 이들을 도와주는 역할을 맡는다.
서울시는 시민이 직접 정책을 제안하고 결정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인 ‘민주주의 서울’을 구축한다. 정책 제안, 실행, 결정 전 과정에서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사이트다. 서울시는 이와 관련한 다양한 플랫폼이 있지만,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은 없었다. 정책 전문가와 평가단은 이들이 수월하게 정책을 제안할 수 있도록 활동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25개 자치구에 수요 조사를 진행한 다음 시범사업을 하기로 했다.
충남 당진시는 온라인으로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인 ‘손끝으로 만나는 우리마을’을 구축할 계획이다. 경기 광주시도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이용해 멧돼지가 언제, 어디서 출몰하는지 분석하고 피해를 방지하는 시스템인 ‘멧돼지는 가라’를 구축한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18-06-2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