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측 가능한 정책… 국민에 감동을”

류지영 기자
수정 2019-01-30 14:00
입력 2019-01-29 23:34
행안부 ‘2018 공공 빅데이터 성과공유대회’ 300여명 참석

행정안전부 제공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2017년 11월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을 분석해 ‘지진 피해지역 지진 당일 이동패턴’을 내놨다. 포항 지진 당일 주민 이동 경로와 교통량 등을 종합해 정부가 미래 지진에 어떤 대책을 준비해야 하는지 정리했다. 최선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관은 “포항 지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진 발생 즉시 비상교통수단과 피난처 정보를 제공해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며 “지진 대비 훈련 등에 이런 내용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연금공단은 경남 김해시와 합작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중소기업 도산 위기 방지’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국민연금 수납 정보와 지방세 납부 내역을 통합해 중소기업 도산 패턴을 산출한 뒤 지역 중소기업에 4단계 도산 위험 등급을 매겨 선제적으로 관리한다는 설명이다. 김홍수 국민연금공단 차장은 “위기 중소기업을 선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 중소기업 자금·판매·인력 지원 등을 통해 사회문제가 된 실업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농업 면세유류 불법유통 감독 효율화와 쌀 생산·소비 예측, 쓰레기 배출 패턴과 수거차량 운영 최적화, 전기차 충전소 입지 선정 등 다양한 분석 사례가 발표됐다.
윤 차관은 “공공 빅데이터 성과공유대회는 데이터의 새로운 가치를 확인하고 체감해 정부 행정의 변화를 이끄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개방하고 활용을 독려해 국민에게 감동을 주는 정책을 만드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9-01-3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