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 미세먼지 배출 3년 내 50% 감축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19-03-20 00:47
입력 2019-03-19 22:12

배출규제·저속운항 해역 지정하기로…하역장비 연료도 경유→LNG로 전환

미세먼지의 주된 배출원이지만 그간 ‘사각지대’로 방치되던 항만에 대한 관리가 강화된다. 정부는 2022년까지 항만의 미세먼지 배출을 50% 줄이기로 했다. 환경부와 해양수산부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항만은 국내 수출입 화물의 99% 이상을 처리하는 국가 경제의 핵심시설이다. 하지만 선박과 대형 경유차, 대규모 하역장비 등에서 다량의 미세먼지가 배출된다. 2015년 기준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33만 6066t)의 약 10%(3만 2300t)를 차지한다. 정부 부처별로 항만 미세먼지 배출 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미세먼지 배출 현황을 파악하기가 어렵고 통합 관리도 이뤄지지 못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해수부는 황산화물과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추진한다. 일반해역보다 강화된 선박연료유 황함유량 기준(0.1% 미만)을 적용하는 ‘배출규제해역’을 지정키로 했다. 속도를 20% 줄이면 미세먼지 발생량을 49%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저속운항해역’도 운영한다. 항만 내 육상전원공급설비를 새로 설치하고 하역 장비인 야드트랙터의 연료를 경유에서 액화천연가스(LNG)로 전환해 친환경 항만 인프라를 확대할 예정이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9-03-20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