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대학 나와도 ‘잘사는 집’ 자녀 첫 월급 높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수정 2019-06-04 02:32
입력 2019-06-04 02:04

입학 당시 부모 소득 하위·상위 비교

서울 4년제 대졸 초봉 月 54만원 격차
대학 입학 후에도 사교육 투자 이어져
상·하위 20% 사교육비 지출 10배 차이
이미지 확대
부모의 소득이 자녀의 첫 일자리 임금 수준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 조사’를 활용해 자녀가 대학에 입학할 당시 부모 소득과 졸업 뒤 첫 일자리 임금 수준을 분석한 결과 2008~2014년 이른바 ‘잘사는 집’ 자녀의 첫 일자리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4년제 대학을 졸업했더라도 부모의 소득이 월 300만원 이하 소득하위 가구 자녀의 첫 직장 임금은 2014년 기준 월평균 188만 3000원이었다. 반면 부모가 월 700만원 이상 버는 소득상위 가구의 자녀는 첫 월급으로 평균 242만 3000원을 받았다. 이는 전문대학, 지방 사립대도 마찬가지였다. 전문대학을 다닌 소득하위 가구 자녀의 첫 일자리 임금은 월 160만 4000원, 소득상위 가구 자녀는 174만원이었다. 지방 사립대 졸업자의 첫 임금도 부모의 소득에 따라 소득하위는 169만 1000원, 소득상위는 184만 8000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해마다 되풀이된 현상이다. 2008~2014년에 서울 4년제를 나온 소득하위 가구 자녀의 첫 월급은 평균 202만원대에 머물렀지만, 소득상위 가구의 첫 월급은 241만원대를 유지했다.

연구원은 “자녀에 대한 교육 투자의 차이가 자녀의 교육 수준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교육의 질적 차이가 심화돼 계층 간 장벽을 공고히 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같은 대학을 나와도 첫 일자리 임금의 격차가 큰 것은 부모의 사교육 투자가 대학 입학 뒤에도 이어진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부모의 소득계층별 교육비 실태를 살펴보면 소득 상위 20%에 해당하는 5분위 가구는 한 달에 평균 42만 3578원을 교육비로 지출하는 반면,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는 4만 5652원을 썼다. 무려 10배가량 차이가 났다. 이런 격차는 학원·보습교육 지출에서 두드러졌다. 소득 하위 20% 가구가 한 달에 쓰는 학원·보습교육비는 상위 20% 가구가 지출하는 비용의 5% 수준에 그쳤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8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7세 이하 아동이 있는 국내 가구는 아동 1명당 월평균 29만원가량의 사교육비를 쓴 것으로 집계됐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9-06-0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