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평화의 길 동서횡단구간’ 2022년 조성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수정 2019-06-05 01:59
입력 2019-06-04 17:50

‘통일을 여는 길’ 구간·명칭 변경 501㎞로

고성·철원·파주와 연계 4년간 286억 투입

비무장지대(DMZ) 인근 접경지역을 따라 한반도를 도보로 횡단하는 ‘DMZ 평화의 길 동서횡단구간’이 2022년까지 조성된다.

행정안전부는 인천 강화군에서 강원 고성군까지 접경지역 10개 지방자치단체를 경유하는 DMZ 평화의 길 동서횡단구간 연결 사업을 올해부터 2022년까지 4년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DMZ 평화의 길 동서횡단구간은 행안부가 지난해 12월 조성계획을 발표한 ‘DMZ 통일을 여는 길’(가칭)에서 구간과 명칭을 변경한 것이다.

지난 4월부터 순차적으로 시범 개방을 진행 중인 DMZ 평화의 길 고성·철원·파주 구간과 연계해 조성하게 되면서 이름을 ‘DMZ 평화의 길 동서횡단구간’으로 바꿨다. 또 지자체와 주민 의견을 수렴해 당초 계획했던 노선안을 456㎞에서 501㎞로 늘렸다.

DMZ 평화의 길 고성·철원·파주 구간이 DMZ 안까지 들어가는 지선 개념이라면, 동서횡단구간은 민간인 출입통제선(민통선) 내 일부와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강화부터 고성까지 한반도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본선’에 해당된다.

행안부는 올해부터 4년간 국비 200억원, 지방비 86억원 등 총 286억원을 투입해 강화에서 고성까지 접경지역 10개 시군에 걸쳐 동서횡단구간을 조성한다. 지자체별로 폐교나 마을회관을 단장한 거점센터 10곳을 만들어 도보 여행객들을 위한 숙소와 식당, 카페, 특산물 판매장으로 활용하고 일부 거점은 고성·철원·파주 구간과 연결한다.

501㎞에 이르는 동서횡단구간 노선안은 해당 지자체와 지역 주민의 의견을 받아 구성했다. 농로 등 기존 길을 활용하고 단절된 구간을 연결해 지역 생태환경에 미칠 영향을 줄이면서 각 지역의 대표적인 생태·문화 관광지와 분단 현장을 체험할 수 있게 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9-06-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