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 태양광 발전 기술 개발 활발…중소기업·개인 주도

박승기 기자
수정 2019-09-03 11:30
입력 2019-09-03 11:30
수상 태양광은 육상과 비교해 대규모 토지가 필요없고, 산지·농지 등 환경훼손이 없다. 2012년 국내 최초로 합천댐에 설치된 후 새만금에 세계 최대 규모(2.1GW) 발전 설비가 추진되고 있다.
3일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수상 태양광 발전과 관련한 특허 출원이 492건에 달했다. 2010년대 초반 연간 20~30건에서 중반 49~74건으로 증가하다 2018년 103건으로 급증했다. 올해 상반기에만 54건이 출원됐다. 2018년 이후 출원이 늘어난 것은 정부 정책 변화로 수상 태양광 사업 규모 확대된 것으로 특허청은 분석했다.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물 위에 발전설비를 띄우는 부력체와 고정하는 계류장치가 핵심이다. 출원 기술은 부력체 및 프레임이 260건(53%), 계류 및 고정이 45건, 발전설비의 이동과 회전 37건 등이다.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출원이 전체 70%(342건)을 차지했다. 또 조력이나 풍력 발전과 결합된 하이브리드 발전(44건), 발전설비가 설치된 장소의 수질 관리(38건), 자체 수자원을 이용한 발전설비의 세척·냉각(24건), 발전설비 관리·감시(17건), 전력관리(17건), 농작물 수경재배나 어류양식 설비를 부가하는 기술(10건) 등으로 다양했다.
특허 출원은 투자가 적고 유연한 아이디어를 발휘할 수 있는 중소기업과 개인이 주도하고 있다. 중소기업(262건), 개인(141건) 출원이 전체 82%(403건)를 차지했다. 상대적으로 대학·연구소(35건), 공기업(34건), 대기업(14건), 외국인(6건) 출원은 적었다.
손창호 에너지심사과장은 “수상 태양광은 국토 면적이 좁은 우리나라에 적합한 발전 방식”이라며 “앞으로 수분, 염분·파도와 같은 열악한 설� ㅉ像� 환경을 극복하고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술 개발 및 특허 출원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