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한류’, 국제특허출원 조사 20년 만에 30배 증가

박승기 기자
수정 2019-12-01 13:33
입력 2019-12-01 13:33
연간 국제조사 수입만 100억원 이상
특허청이 국제특허출원에 대한 선행기술 등을 조사하는 국제조사업무를 시작한 지 20년만에 심사건수가 30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19개국과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에 국제조사를 맡기고 있다. 연간 조사 수입만 100억원에 달한다.
PCT는 하나의 출원서로 전 세계 가입국(152개)에 동시 특허출원하는 효과가 있다. 출원인은 국제특허출원 심사결과를 보고 최초 출원인로부터 30개월 내에 해외 출원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우수 심사인력으로 적기 고품질의 국제조사 결과를 제공하면서 해외 출원인을 유치한 데다, 2009년부터 한국어 국제특허출원이 가능해지면서 국내 중소기업과 발명가 등이 해외 특허에 관심이 높아졌다. 최근 5년간 한국특허청에 접수된 PCT 국제출원 중 한국어 출원은 87.0%에 달한다. 2018년 기준 1만 6991건 중 한국어 출원은 88.8%(1만 5086건)이다.
우리나라에 국제조사를 의뢰하는 국가는 2002년 필리핀·베트남 등 2개국에서 2019년 현재 미국·호주 등 19개으로 증가했다. 삼성전자·LG전자 등 국내 기업을 비롯해 인텔·GE·마이크로소프트·애플 등 잘 알려진 해외 기업들도 한국 특허청에 국제조사를 의뢰하고 있다. 해외 조사료 수입이 2014∼2018년 5년간 연 평균 170억원을 기록했고 올해 10월 현재 103억원에 달한다.
특허청 관계자는 “국내 출원인의 국제출원 및 해외의 국제조사 의뢰가 크게 늘고 있다”면서 “이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에 심사업무를 수출하는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