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청년에게도 가장 중요한 ‘일자리·주거’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수정 2019-12-19 01:52
입력 2019-12-18 22:46

市, 서울 거주 청년 1만명 설문조사

결혼·출산 기성세대보다 더 어려움 느껴
취업·성공요소로는 학력·자격증 順 꼽아

서울 청년들은 인생에서 원하는 일자리와 주거를 가장 우선으로 꼽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이 느끼는 가장 중요한 취업 성공 요소는 ‘학력’ 또는 ‘학벌’인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는 18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청년세대와 기성세대 간 비교를 통해 본 서울 청년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만 19~39세 청년 1만명이다.

조사 결과 서울 청년들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원하는 일자리를 갖는 것’(28.3%)을 꼽았다. ‘원하는 주거에서 사는 것’(28.2%)이 뒤를 이었다.

반면 ‘원하는 연애 및 결혼’(16.2%),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것’(9.8%)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시 관계자는 “‘원하는 주거’라는 개념은 청년들이 살고 싶어 하는 지역이나 위치 또는 전·월세 등 주거 형태를 복합적으로 질문한 것”이라면서 “예를 들어 경기도보다는 서울에 살기를 선호하는 경우, 월세보다는 자가를 선호하는 경우 등을 ‘원하는 주거에서 사는 것’으로 꼽을 수 있다”고 말했다.

청년들이 취업 성공 요소로 ‘학력 또는 명성 있는 대학 졸업’을 꼽은 비율이 33.5%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업무(직무) 관련 자격증’(23.4%), ‘인턴, 아르바이트 등 직무경험’(13.9%), ‘외국어 능력’(11.4%) 등이었다.

청년들은 부모의 경제력이 좋을수록 자녀의 평균 급여도 높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경제 계층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평균 급여가 더 높았다. 부모의 경제계층을 상층, 하층으로 인식하는 청년 간 급여 차이는 44만원이었다. 조사 대상 서울 청년들의 첫 직장 급여는 평균 169만 7000원, 현재 급여는 평균 271만 6000원이었다.

또 결혼과 출산에서 청년세대가 기성세대보다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과 출산에 대한 사회적 어려움을 5점 척도로 평가했을 때 청년세대는 각각 3.68점과 3.85점을 줬고, 기성세대는 2.79점과 2.74점을 줬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9-12-1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