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초마다 울린 119… 25%는 실수·무응답

이현정 기자
수정 2020-01-07 02:03
입력 2020-01-06 21:34
지난해 태풍에 구조·안전 신고 증가

6일 소방청에 따르면 신고 유형은 화재·구조·구급·생활안전이 37.8%(437만건)로 가장 많았다. 의료안내와 민원상담은 333만건(28.7%)에 달했다. 화재출동은 15만 3281건으로 3분마다 1회 출동했으며, 구조출동은 88만 1990건으로 36초마다 1회 출동한 셈이라고 소방청은 밝혔다. 구급출동은 293만 9400건으로 11초마다 1회꼴로 출동했다.
2018년과 비교하면 화재·구조·구급·생활안전 등 실제 출동관련 신고가 1.2% 증가해 유독 많았다. 특히 구조와 생활안전 신고는 각각 8%, 6% 늘었다. 소방청 관계자는 “3분기 태풍 ‘링링’을 포함해 한반도를 7차례 강타한 태풍의 영향으로 구조와 안전조치 관련 119 신고건수가 매우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방자치단체 가운데는 울산지역 신고 접수건수가 한 해 전보다 8.3% 늘어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 다음으로 증가폭이 큰 지역은 경북으로 전년 대비 6.6% 늘었다. 이 역시 태풍의 영향이라고 소방청은 분석했다.
한편 2016년 긴급신고 전화를 119로 통합한 이후 소방, 경찰, 해경 등 긴급신고접수 기관의 공동대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소방에서 다른 기관으로 공동대응을 요청한 건은 한 해 전보다 3.0%, 다른 기관에서 소방으로 요청한 건은 18.4% 증가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01-0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