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문화 확산, 서비스 로봇 개발 ‘속도’

박승기 기자
수정 2020-10-26 14:12
입력 2020-10-26 14:12
코로나19 확산에 헬스케어분야 급증
살균이나 소독 등 방역 및 검체 채취 로봇도 등장
“고객이 매장에 들어오면 로봇이 고객을 따라간다. 고객이 의자에 앉으면 서빙 로봇이 주문을 확인하고 셰프 로봇이 주방에서 요리를 하면 서빙 로봇이 테이블로 가져다 놓는다.”

출원인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31%(152건)를 차지했다. 대기업들이 비대면 서비스 로봇 기술 개발을 이끌고 중소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시장을 형성하면서 기술 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학·연구소 18%(91건), 개인 15%(73건), 외국인 5%(27건) 순이다. 분야별로는 안내·접객 로봇이 51.3%(254건)를 차지한 가운데 물류·배송(161건), 헬스케어(80건) 등으로 나타났다.
호텔·도서관·공항·레스토랑 등에서 활용이 많은 안내·접객 분야는 2016년(41건) 급증한 뒤 출원이 이어지고 있다. 매장이나 창고 등에서 물건을 옮기는 물류·배송 분야는 2017년(24건)을 기점으로 크게 늘었다. 헬스케어는 연평균 6건 정도 출원되다가 올해 23건으로 급증했다. 살균이나 소독 등 방역 관련 로봇(10건)을 비롯해 검체 채취 로봇(4건) 등 전염병 방역과 관련한 기술 개발로 다양화하고 있다. 특허청은 인공지능·자율주행 기술과 접목한 서비스 로봇 출원이 당분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