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4% “사회 불공정”… 47% “나는 공정”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찬구 기자
수정 2020-11-05 02:52
입력 2020-11-04 22:34

“개천에 용 가능” 11%… 금수저 문화 여전
10대 ‘동료 부정 신고’ 의지 70%로 최다

우리 사회가 공정한지를 묻는 설문에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스스로가 불공정하다고 답한 사람은 10명 중에 1명꼴이었다. 국민권익위원회 소속 청렴연수원이 지난 9월 2일부터 2주간 만 14세 이상 69세 이하 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공정과 정직, 배려 분야에 대해 온라인 설문조사한 결과다.

‘우리 사회가 공정한가’라는 항목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54.0%가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공정하다는 응답은 9.5%에 그쳤다. ‘나는 공정한가’라는 질문에는 9.2%만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공정하다’는 47.1%로 나타났다. 사회 전반의 공정 수준은 낮지만 본인 스스로는 공정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

개천에서 용 난다’는 속담이 현실에서 가능한 지를 묻는 항목에는 11.7% 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아니다’가 56.6%, ‘모르겠다’가 31.7%로 나타났다. ‘팔은 안으로 굽는다’에는 66.1%가 ‘그렇다’고 밝혔다.

권익위는 “금수저·흙수저 문화와 제 식구 감싸기 행태가 여전히 우리 사회에 남아 있다고 인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회사 동료의 부정부패를 정직하게 신고하겠는가를 묻는 질문에 10대는 조사 대상자의 70.9%가 신고하겠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 40대가 32.5%로 가장 낮았고, 20대는 50.8%로 두 번째로 높았다. 권익위는 “10대들의 청렴 눈높이와 부정부패에 대한 신고 의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타인을 위한 배려 항목에서 ‘연초 계획한 가족여행을 코로나19 사태로 취소하겠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5.7%가 ‘취소하겠다’고 밝혔다. ‘공동주택에서 이웃에게 소음이나 냄새로 피해를 주지 않도록 조심하느냐’는 항목에서는 89.0%가 ‘그렇다’고 답했다.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kpark@seoul.co.kr
2020-11-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