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에 칸막이 관련 특허출원 급증

박승기 기자
수정 2020-12-01 14:09
입력 2020-12-01 14:09
연평균 50건에서 올해는 9월까지 92건 출원
테이블 칸막이는 4배 이상 증가한 69건
코로나19 사태로 개인 위생과 방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칸막이 관련 기술 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3차 확산 우려에 3일 치러지는 대학수학능력시험장에는 책상마다 비말 차단을 위한 칸막이가 설치된다.

최근 10년간 기술 분야별로는 일반 칸막이 226건, 테이블 칸막이 235건, 칸막이 고정·장착·거치와 관련한 부속품 50건 등이다.
일반과 부속품이 예년 수준을 유지하는 것과 달리 테이블 칸막이 중 방역 관련 특허는 1.67건에서 올해 53건으로 급증했다. 특히 조립구조나 프라이버시 관점에서 출원됐던 것과 달리 올해는 호흡기 감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방역·이동성·휴대성·환경문제 개선 등으로 출원 경향이 다양화됐다.
휴대용 테이블 칸막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미세먼지를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할 당시인 2013년 9건, 메르스가 유행했던 2015년 13건, 올해 19건을 기록했다. 출원인은 98.6%(504건)가 내국인이고 외국은 출원은 7건에 불과했다.
10년간 출원된 비말 방지, 항균 기능 등 방역과 관련한 칸막이 기술 68건은 모두 내국인이 출원했고, 이중 53건이 올해 집중됐다. 정성중 생활용품심사과장은 “코로나19로 높아진 개인 방역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특허 출원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