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개인 걱정 1위는 경제적 고통

강국진 기자
수정 2020-12-17 04:35
입력 2020-12-16 17:50
2020사회보장 인식조사서 25%가 응답

보건복지부가 16일 발표한 ‘2020년 사회보장 대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개인적인 걱정거리를 묻는 질문에 현재 시점에서는 경제적 어려움(25.2%)과 노후생활(11.4%)을, 5년 뒤 걱정거리로는 노후생활(20.6%)과 경제적 어려움(16.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사회적 불안요소로는 현재 시점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감염병 문제’(30.7%)와 일자리 부족(19.2%)을, 5년 뒤에는 감염병 취약(14.9%)과 부동산(13.4%)을 지목했다. 국가가 가장 주력해야 할 정책으로는 국민과 전문가 모두 ‘실업 시 소득 지원’을 1순위로 선택했다.
코로나19 이후 전반적인 소득 수준이 나빠지는 징후도 보였다. 코로나19 이후 생활 수준이 나빠질 것이라고 미래를 전망하는 응답은 33.9%나 되는 반면 좋아질 것으로 본다는 응답은 8.8%에 불과했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가구원이 많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생활수준 악화를 예상하는 응답이 많았다. 2019년과 올해 1∼6월을 비교하더라도 소득이 줄었다는 응답은 27.4%인 반면 소득이 늘었다는 응답은 7.1%에 그쳤다. 같은 기간 지출이 줄었다는 비율도 14.0%를 기록했다.
국민의 절반 이상인 57.0%는 노후 준비를 하고 있었으며 주된 방법은 국민연금(57.5%), 예금·적금·저축성 보험(20.5%), 사적연금(7.0%) 등이었다. 현재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로 30대는 ‘앞으로 준비할 계획’이라는 비율이 43%였지만 40대부터는 ‘준비할 능력이 없다’는 비중이 높아져 60대 이상에서는 이 비중이 67.1%까지 올라갔다.
이번 조사는 사회보장 환경 변화에 따른 국민 인식 변화와 정책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2016·18년에 이어 세 번째로 실시한 것으로, 국민 1000명과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0-12-1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