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국경 안전 강화 대책 국민과 함께 구축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21-01-19 11:31
입력 2021-01-19 11:31

관세청, 과기부와 공동으로 커스텀즈랩 사업 추진
올해부터 2024년까지 4년간 315억원 지원

관세청은 1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커스텀즈랩 사업)의 추진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관세청이 마약류·총기·유해물질 등 사회안전과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물품의 국내 밀반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커스텀즈랩 사업에 2024년까지 4년간 총 315억원을 지원한다. 사진은 관세청이 입주한 정부대전청사 전경. 서울신문 DB
관세청이 마약류·총기·유해물질 등 사회안전과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물품의 국내 밀반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커스텀즈랩 사업에 2024년까지 4년간 총 315억원을 지원한다. 사진은 관세청이 입주한 정부대전청사 전경. 서울신문 DB
마약류·총기·유해물질 등 사회안전과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물품의 국내 밀반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연구개발(R&D)에 4년간 총 315억원을 지원한다.

관세청은 국가간 물적·인적교류의 급증에 대응해 위험요인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관세국경단계의 위험에 대한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신기술 도입을 추진했다. 인공지능(X-ray 통관시스템)과 빅데이터(우범여행자 선별), 블록체인(전자상거래 통관) 등이다. 그러나 현장과 엇박자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했다. 검증된 장비는 현장의 요구사항이 반영되지 못하고 현장 의견을 고려한 정보화사업은 기술 개발에 한계를 드러냈다.

이에 따라 관세청은 일선 세관의 의견을 반영한 첨단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및 국산 장비 개발에 나섰다다.

커스텀즈랩 사업은 올해부터 2024년까지 4년간 총 315억원을 지원할 예정으로, 수입 화물에 은닉된 마약·총기류 등을 검색할 수 있는 ‘복합 엑스레이 장비’와 우범 입국자에 대한 ‘CCTV 영상 재식별 시스템’ 등 세관에 공통적으로 도입이 필요한 기술 개발이 목적이다. 특히 문제해결 방향 기획부터 연구개발·적용까지 전 단계에 세관 공무원과 국민, 연구자가 참여하는 리빙랩이 운영된다.

노석환 관세청장은 “관세국경을 관리하는 세관의 현장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견을 반영할 계획”이라며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관세행정 서비스 혁신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