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지식재산 금융 2조원 돌파, 4년만에 3.6배 성장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21-02-04 13:38
입력 2021-02-04 13:38

지난해 전년대비 52.8% 증가한 2조 640억원
IP 담보대출 1조 930억원...중소벤처기업 자금 숨통
특허기술 직접 투자액도 4배 이상 증가한 462억원

지난해 우리나라 지식재산(IP) 금융 규모가 사상 처음 2조원을 돌파했다.

4일 특허청에 따르면 국내 지식재산 금융은 2019년 1조원을 첫 달성한 데 이어 지난해는 전년 대비 52.8% 증가한 2조 640억원에 달했다. 2016년(5774억원) 이후 4년만에 3.6배 성장한 것이다. IP 금융은 지재권을 활용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으로, IP 가치평가를 거쳐 금융기관이 담보대출·보증대출·투자 형태로 기업에 자금을 제공한다.

금융 유형별로는 IP 담보대출이 1조 93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지재권을 기반으로 보증서를 발급하는 IP 보증 7089억원, 우수 지재권을 보유한 기업 또는 지재권에 직접 투자하는 IP 투자액이 2621억원이다. 특히 IP 금융이 확대되면서 물적 담보가 부족하고 신용도가 낮은 혁신기업에 대출이 집중되면서 코로나19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기업의 경영난을 완화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IP 담보대출 기업 1608개사 조사 결과 비우량등급(BB 등급 이하) 대출이 74.4%(1197개사)를 차지했다. 대출금리는 2% 내외로 평균 3~4% 대인 중소기업 신용 대출금리보다 낮아 기업 부담을 덜어줬다. G사는 코로나19 백신물질 개발과정에서 자금난을 겪었으나 유전자가위 특허(7건)를 담보로 운영자금을 대출받아 임상시험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IP 투자액 중 유망 특허기술에 투자하는 직접 투자액이 전년(113억원) 대비 4배 이상 증가한 462억원으로 집계됐다. 박호형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IP 금융이 성장기에 진입하면서 금융시장에 고품질 IP 가치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활성화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