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온라인 전략으로 임산물 수출 확대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수정 2021-03-10 14:01
입력 2021-03-10 14:01

지난해 코로나19 사태에 수출액 6.6% 감소
뉴미디어와 온라인몰 통해 4억달러 달성 목표

비대면·온라인을 활용한 임산물 수출이 강화된다.
이미지 확대
최병암 산림청 차장이 10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수출 환경 변화에 대응해 비대면·온라인 마케팅 강화를 전략으로 한 ‘2021년 임산물 수출 촉진 대책’을 발표했다. 최 차장이 곤드레 나물을 이용해 만든 ‘비빔곤드레’ 등 수출 유망 품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최병암 산림청 차장이 10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수출 환경 변화에 대응해 비대면·온라인 마케팅 강화를 전략으로 한 ‘2021년 임산물 수출 촉진 대책’을 발표했다. 최 차장이 곤드레 나물을 이용해 만든 ‘비빔곤드레’ 등 수출 유망 품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산림청은 10일 코로나19 장기화로 온라인 유통·소비 확대를 반영한 ‘2021년 임산물 수출 촉진 대책’을 통해 수출 4억 달러(약 4565억원)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해 임산물 수출액은 전년 대비 6.6% 감소한 3억 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수요 위축과 물류비 증가, 긴 장마에 따른 단기임산물 생산량 감소 등의 영향이 컸다.

전자상거래가 활발한 수출 환경 변화에 대응해 누리소통망, 라이브커머스, 1인 미디어 방송 등 다양한 뉴미디어를 활용하고 국가별 온라인 시장 성숙도에 따른 차별화된 마케팅도 추진한다. 임산물 국가통합 브랜드(K 포레스트 푸드) 개발해 품질기준을 적용하는 등 국내외 소비시장 진출 확대에 나서기로 했다. 또 아마존·알리바바 등 국제 온라인몰 입점과 온라인 박람회·상담회 등을 지원하고, 인플루언서 발굴과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등을 통한 임산물 홍보도 추진한다. 소비가 늘고 있는 소형·즉석식품을 겨냥해 표고 비빔밥 등 가정간편식 상품과 조리법(레시피)도 개발해 공급할 계획이다.

지역·품목별 수출특화시설을 기존 1개소(20억원)에서 1개 또는 2개소(10억원)로 세분화해 시설 확대 및 맞춤형 지원이 가능하도록 했다. 지역의 임산물 생산자와 계약재배로 수출하는 수출선도 대상품목도 밤·감·대추에서 표고·산양삼을 확대했다. 임업장비 수출을 위한 전담팀이 가동되고 임산물 수출유망품목 발굴 대회를 통한 지원도 실시한다. 최병암 산림청 차장은 “임산물의 수출 확대는 임업과 임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일자리 창출 및 임가 소득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