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나물 시루’ 중학교… 의미 없는 등교 축소

김기중 기자
수정 2021-12-21 01:38
입력 2021-12-20 17:44
학생수 28명 넘는 과밀학급 46% 달해
경기 58%… “교실밀집도 낮출 수 없어”

20일 정의당 정책위원회에 따르면 교육부의 올해 전국 시도별 학급수를 분석한 결과 학급당 학생수가 28명을 넘어가는 비율이 전체의 23.2%에 이른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7월 교육회복종합방안을 발표하면서 학교 건폐율·용적률과 전체 학생수를 따져 학급당 28명을 통상 과밀학급으로 정했다.
이 기준을 적용하면 전국 초등학교는 14.9%, 중학교는 46.0%, 고등학교는 19.9%가 과밀학급이다. 지역별 과밀학급은 경기가 40.1%로 가장 높았고 제주가 37.0%, 충남이 30.6%로 뒤를 이었다. 특히 경기도는 중학교 과밀학교 비율이 58.6%로 절반을 넘겼다. 이어 충남 62.8%, 제주 60.8%, 인천 54.4% 순이었다.
정책위는 이런 상황에서 교육부가 학교 밀집도를 조정한다 해도 코로나19 확산 위험이 여전하다고 주장했다. 예컨대 중학교에서 3분의2로 등교를 제한한다 하더라도 학생들이 생활하는 교실 내 밀집도 자체에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장혜영 정책위 의장은 “교육부 정책대로라면 학교 밀집도는 낮출 수 있어도 교실 밀집도를 떨어뜨릴 수 없다”면서 학교 밀집도를 낮추는 동시에 빈 교실로 학생들을 쪼개 교실 밀집도를 낮추고 교사가 오가면서 수업을 하는 방법, 혹은 같은 학급이라도 절반은 대면으로 수업하고 나머지는 온라인으로 하면서 수업 장면을 실시간으로 보내 주는 방법 등을 제안했다. 장 의장은 “단기적인 정책에 이어 장기적으로는 교육 재정을 늘려 과밀학급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한편 교육 분야 거리두기 강화 조치 시행 첫날인 이날 서울과 수도권에서 초등학교 1·2학년 매일 등교, 3∼6학년 2분의1 등교, 중·고등학교 3분의2 등교가 실시됐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1-12-2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